CAREERS

CD팀 세포주1그룹 홍주현 전문

소속되어 있는
부서는 무슨 일을
담당하나요?

세포주그룹은 당사에서 바이오시밀러 개발하는 첫 단추라고 볼 수 있습니다.
원하는 바이오시밀러를 생산할 수 있는 세포주를 제작하고 선별하는 것이 세포주그룹의 주업무이고, 완성된 세포주에 대해서 품질 및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앞으로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적합한 세포주인지 판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개발이 완료된 세포주에 대하여 생산 세포주 은행의 제조 및 관리 또한 세포주그룹의 업무입니다.

‘세포주 제작’이라고 간단히 말씀드렸지만 세포주 제작은 많은 단계를 거칩니다.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originator의 단백질 및 유전자 서열 확보부터, 해당 바이오시밀러를 생산하기위한 expression vector 제작, vector를 세포주에 도입하고 수 차례의 선별과정을 통해 한 개의 세포에서 유래된 single clone을 얻어 해당 clone을 평가하기까지 많은 과정을 거쳐 세포주를 제작하게 됩니다.

그리고 해당 세포주가 의약품 생산에 적합한지 검증 후, 세포주 보관 및 생산 목적으로 하는 세포주 은행을 제조, 관리합니다. 이미 허가된 과제에 대한 세포주 은행도 지속적으로 관리가 필요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생산하는 것도 세포주그룹의 역할이기 때문에 바이오시밀러 생산의 품질 관리에 직접적으로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본인이 담당하는
직무는 무엇이며,
해당 직무의 장점은
무엇인지요?

매년 그룹 내 업무 분배에 따라 성격이 다른 과제에 배정되지만 기본적으로 세포주 개발 process를 거쳐 세포주를 제작하거나 해당 개발 process를 개선하는 업무를 수행해왔습니다. 세포주를 제작하는 역할을 맡게 되면 내가 개발한 과제 세포주가 다른 그룹으로 넘어가 과제가 계속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당사 과제에 참여했다는 자부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과제의 허가적으로 필요한 문서 준비 등의 업무를 하면서 바이오시밀러 세포주 개발의 허가 문서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배울 수 있습니다.

Process 개선 등을 수행하는 혁신 과제를 맡게 되는 경우, 앞으로 많은 과제들이 거쳐갈 세포주 개발 process를 직접 개선하여 나의 업적이 여러 과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이 외에도 세포주그룹은 세포주의 screening 단계에서 많은 분석 및 실험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룹 자체적으로 분석 및 배양을 진행하여 넓은 scope의 업무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해당 직무에 가장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요?

정보지향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세포를 다룬다는 관점에서 cell engineering 등 여러 시도를 위해 공부가 많이 필요한 직무이기도 하고, 회사가 커지면서 과제 개발 히스토리 등 선행 과제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이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에
다니면서
가장 좋은점은
무엇인가요?

좋은 사람들과 일한다는 점입니다.
많은 친구들과 이야기를 해보았을 때 인간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정말 크다고 느꼈는데,
저는 바이오에피스에 다니면서 항상 똑똑하고 선한 사람들 사이에서 일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고 있고 이 점이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담당하고 계신
직무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저는 유전공학 및 분자생물공학 전공을 살려 세포주그룹에 지원하였습니다.
원래 배양, 정제, 분석 등 다른 개발 과정에 대해서도 포괄적으로 배우고 싶은 마음이 있었는데 배양, 분석 등 타업무를 전반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 점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Meet Our People
레이어 팝업 닫기
SAMSUNG BIOEPIS

확인 취소
레이어 팝업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