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UPUS & KCR 2023'에서 18일(목) 국내외 전문의 대상 위성 심포지엄 개최
- 해외 저명 인사 초청해 바이오시밀러의 경제적 효용성 등 토론
- 국내 학회에서 첫 심포지엄 개최…“바이오시밀러 인식 제고 지속 노력”
삼성바이오에피스(대표이사 고한승 사장)는 17일(수)부터 20일(토)까지 코엑스에서 진행되는 한국루푸스연구회 및 대한류마티스학회 주관 '제15차 세계 루푸스 학술대회∙제43차 대한류마티스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17차 국제학술 심포지엄'(LUPUS & KCR 2023)1)에서 18일(목) 위성 심포지엄(Satellite Symposium)2)을 개최한다.
본 심포지엄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국내 학회에서 처음으로 시행하는 학술 토론의 장(場)으로서, 국내와 해외 류마티스 전문의를 대상으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분야 바이오시밀러 현황 및 경제적 효용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계획이다.
총 두 가지 세션의 패널 토론으로 진행되는 본 행사에서는 류마티스 내과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 조세프 스몰렌(Josef Smolen) 오스트리아 빈(Vienna) 의과대학 교수가 좌장을 맡게 돼 의의와 수준을 한 층 더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국내 학회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위성 심포지엄을 통해, 바이오시밀러의 사회 경제적 역할과 기능을 알리고 환자 편익 중심의 긍정적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한편, 2012년 창립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고가(高價) 바이오의약품의 환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바이오시밀러(biosmilar: 동등생물의약품) 개발 및 상용화 사업에 주력하고 있으며, 2023년 5월 기준 총 6종3)의 항체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개발해 국내 시장에 출시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자가면역∙종양질환 치료제 외에도 초(超)고가 희귀 난치성 혈액질환 치료제를 비롯한 안과∙내분비계 질환 분야의 바이오시밀러 개발4)을 통해, 앞으로도 국내 환자들에게 더 많은 치료 기회를 제공하면서 국가 보건복지 재정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계획이다.
< 이 상 >
[각주 설명]
1) LUPUS & KCR 2023은 서울 코엑스에서 5/17(수) 부터 5/20(토)까지 진행됨.
공식 행사명칭은 다음과 같음
- The 15th International Congress o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The 43rd KCR Annual Scientific Meeting & 17th International Symposium
2) 위성 심포지엄(Satellite Symposium)은 네트워크 및 정보 공유의 수요가 있는
기관 또는 기업에서 대규모 학회 행사가 열리는 기간에 다양한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학술적 지식과 트렌드를 공유하는 행사임.
* 삼성바이오에피스 위성 심포지엄 일정: 5월18일(목) 19시~21시
3) 삼성바이오에피스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총 6종의 제품을 상용화하여 파트너사를 통해 판매 중임.

* ENBREL은 와이어스(Wyeth)의 상표
REMICADE는 얀센 바이오텍(Janssen Biotech)의 상표
HUMIRA는 애브비(AbbVie)의 상표
HERCEPTIN/AVASTIN/LUCENTIS는 제넨텍(Genentech)의 상표
4)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개발을 공식화한 후속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은 4종이며, 현재 글로벌 임상 시험(3상)을 모두 완료한 상황임.

** SOLIRIS는 알렉시온(Alexion)의 상표
EYLEA는 바이엘(Bayer)의 상표
PROLIA는 암젠(Amgen)의 상표
STELARA는 존슨앤드존슨(J&J)의 상표